Table 10. Transformational differences between K. borealis and H. japonica tadpoles in two regions of Mt. Chilbo due to climate change

Kind Survey period/location Egg-planting and habitat Metamorphosis process Special note
맹꽁이 Kaloula borealis 2019. 8. 7 ~ 11. 9 (94일 간)/St. 2, St. 8 * St. 2: 숲속 그늘에 얕은 웅덩이* St. 8: 양지쪽에 얕고 좁은 긴 도랑 형태 * St. 2 : 늦은 변태로 죽음* St. 8 : 변태하여 육상으로 이동 * 가뭄과 여름철 장마비를 이용하여 산란시기 결정* 숲속 웅덩이에 늦은 산란으로 저온일 때 발생 지연하여 죽음
청개구리 Hyla japonica 2019. 8. 7 ~ 9. 3 (27일 간)/St. 8 * St. 8: 양지쪽에 얕고 좁은 도랑 형태로 수초가 나 있음 * 청개구리의 소량 분산 산란으로 여러 단계의 변태가 진행 * 봄철 강수량, 여름철 장마 비를 이용하여 여러 차례 산란하여 발생함
St. 2 : 37.287707N/126.927117E (105m),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
St. 8 : 37.286132N/126.922556E (89m),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